상단영역

본문영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내 13개 마을, 먹는 물 질산성질소 허용한계치 근접

제주도 유일지하자원이며 생명수인 제주지하수가 위기에 몰려 제주92개 마을 상수도 중 13개마을의 먹는 물이 농업용수 평균 함유량 2.8㎎/ℓ보다 더 많은 질산성 질소를 함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비료 과다

기자명

제주도 유일지하자원이며 생명수인 제주지하수가 위기에 몰려 제주92개 마을 상수도 중 13개마을의 먹는 물이 농업용수 평균 함유량 2.8㎎/ℓ보다 더 많은 질산성 질소를 함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비료 과다 살포로 인해 전국이 질소 공급과잉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상하수도를 지하수에 의존하는 제주도에서 상수도의 질산성 질소 함유량이 지속 늘어나 허용한계치까지 육박한 마을이 등장해 위기신호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도내 비료사용량은 화학비료와 유기질비료 모두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음식물류 폐기물과 가축분뇨 방류, 재활용을 위한 유기질 비료 공급량이 매년 늘어나는데 화학비료 사용량마저 늘어나 먹는 물의 질소 농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밭작물 주산지인 대정읍은 화학비료 3만1979톤에 유기질비료 2만1944톤을, 구좌읍에선 화학비료 3만3745톤에 유기질비료 2만2420톤을 사용해 화학비료가 오히려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성산읍, 안덕면, 애월읍, 한경면 등도 화학비료가 유기질비료보다 많이 쓰는 지역이었다.

김현권(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의원이 제주도로부터 받은 2017년 1분기부터 2019년 3분기까지 마을상수도 수질검사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 전체 마을 상수도의 질산성 질소 함유량 평균은 1.25㎎/ℓ에서 1.64㎎/ℓ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농업용수의 질산성 질소 함유량은 2017년 2.56㎎/ℓ에서 지난해 2.8㎎/ℓ로 늘었다.

질산성 질소는 유기물 중의 질소 화합물이 산화 분해해 무기화한 최종 산물로 상수도에서 그 농도는 유기오염의 지표로 사용된다.

이와 함께 제주도는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고유량․고농도 처리시설 29곳에 대한 최근 점검 결과 처리기준을 초과한 12곳의 위반사실을 적발해 개선명령을 내렸다. 

특히 지역에서 골칫거리로 등장한 양돈분뇨 처리를 위한 정책방향을 액비 살포에서 정화처리로 바꿔 오염원 자체를 줄이거나 없애려 하고 있다.

한편 농촌진흥청이 김현권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2018년 화학비료 사용량은 449만 톤으로 2014년보다 3.7%줄어드는데 그쳤다. 같은 기간 부산물(유기질)비료는 60.5% 늘어나 지난해 725만 톤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가축분뇨발효액 사용량은 4년전보다 무려 521.2% 증가한 262만 톤으로 조사돼 전체 부산물 비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5%에서 36.2%로 급증했다.

저작권자 © 제주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